오세훈 서울시장의 서울비전 2030 계획 중에 금융특구 조성사업이라는 게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의도를 디지털 금융특구로 조성한다. <br /> <br />그래서 세계 5대 금융도시로 진입한다. <br /> <br />서울이 세계 5대 금융도시가 된다. <br /> <br />그러면 지금은 도대체 몇 위일까요. <br /> <br />이거 어제 평가지수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보십시오. <br /> <br />서울은 지금 12위입니다. <br /> <br />부산이 30위입니다. <br /> <br />3월, 9월 1년에 두 번 평가하기 때문에 9월보다 한 칸 늘었고 부산은 세 칸 정도 올라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이 금융 경쟁력이 상승세를 타고 있는 건 좋은데 걱정거리가 하나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보시면 윤석열 당선인이 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옮기겠다. <br /> <br />나머지 가능한 한 여러 개를 본점을 전부 다 부산으로 옮겨놓겠다라고 공약을 하고 꼭 지키겠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대형 금융기관의 본사 이전이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한번 보십시오. <br /> <br />기업이 있고 은행이 있고 증권사, 보험사가 있고 글로벌 투자회사들이 잔뜩 모여 있고 이걸 하나의 네트워크로 볼 때 산업은행은 여기에서 돈을 다 긁어모아서 유망산업이나 혁신기업한테 지원하는 게 임무인데 산업은행 본점이 부산으로 간다 그러면 서울에 이것들은 모여 있는데 뭔가 영업이 잘 안 된다는 거죠. <br /> <br />그다음에 역시 법도 다 서울에 둔다라고 되어 있어서 이거 국회에서 고쳐야 됩니다. <br /> <br />금융계에서는 금융 발전, 급박한 국제 경쟁과 투기자본에 대한 신속한 대응 이런 걸 고려하면 본점이 부산으로 가면 손해가 너무 큰데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 부산 쪽에서는 기대가 완전히 다르죠. <br /> <br />큽니다. <br /> <br />보시면 부산이 이제 금융 중심지로 도약할 때가 됐다. <br /> <br />지금 와 있는 게 주택금융공사, 자산관리공사, 한국거래소가 와 있는데, 부산에. 이제 산업은행, 수협은행 오면 드디어 부산도 금융허브가 된다. <br /> <br />저도 욕심 같아서는 서울, 부산 모두 금융 경쟁력을 갖춘 국제금융허브도시로 우뚝 서고 국가의 균형발전도 이뤄지면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문제는 이걸 보십시오. <br /> <br />서울이고 부산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2015년에 금융기관들이 부산으로 옮겼습니다. <br /> <br />옮기니까 순위가 뚝뚝뚝 떨어져서 부산은 70위까지 떨어졌었고 서울 같은 경우 30위 밑으로 내려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6년이 지나서 이제 겨우 12, 30. 아직도 옛날에 제일 높았을 때를 못 따라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6위, 부산 24위였던 것이 금융... (중략)<br /><br />YTN 변상욱 (byunsw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2520143413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